반응형

폐배터리 산업분석

 

1. 국내 전기차 폐배터리 산업현황

 

* 제주시 배터리 산업화센터

* 초기 용량 대비 70% 이하면 교체 필요함.

* 2028년부터 본격 성장.

 

 

 

2. 폐배터리 시장성

 

* 전기차 1대당 100만원의 가치. (니켈 코발트)

* 국내 연간 말소차량 130만대, 모두 전기차 가정시는 1.4조원 시장.

* BEV 용량은 40kwh로 스마트폰 이차전지 용량의 4000배.

 

 

 

3. 폐배터리 처리방법 ( 1. 재사용 )

 

* 1. 재사용 (re-use) : ESS로 활용.     2. 재활용(re-cycle) :  희소금속 추출.

* 팩-> 모듈 - > 셀로 갈 수록 해체가 어렵고 노동집약적임. (수작업)

* 팩을 바로 재사용하는 경우는 공정이 단순하는 재활용의 폭이 좁다. ( 형태가 달라서 )

* 셀까지 해체해서 사용할 경우 제품 적용의 폭이 넓으나 해체비용이 많이 든다.

* 팩의 형태가 제품마다 다르고 다양해서 자동화하기는 쉽지가 않다.

 

 

 

4. 폐배터리 처리방법 ( 2. 재활용 ) 

 

* 재활용 전처리 - 폭발위험 제거 및 파쇄작업.  후처리- 화학용액(황산) 이용해 금속 추출.

* 습식 처리 vs 건습식 처리

- 건습식처리는 글로벌1위 유미코어가 하고 있는 방식임.

- 건습식처리는 전처리가 필요없고 대용량처리가 가능하나 설비비가 많이 들어서 작은 규모의 회사가 선택하기는 어려운 방법.

 

 

5. 주요기업

 

* 거린메이, 닝보브룬프(tsmc 자회사와 합작사), 유미코어, 성일하이텍(비상장) , 고려아연

 

 

 

6. 폐배터리 종목 선정시 고려할 점

 

* 제련소 비지니스와 기술적으로 유사함.

* 대용량 처리 설비를 갖추려면 설비비가 많이 들어 자본력도 뒷받침되야함.

* 자동차, 배터리사와 제휴가 중요. ( 원재료 확보 ) 

* 재활용 과정에서 환경오염 가능성이 있어 친환경 기업일 필요가 있음.

 

 

 

참고: 케이프증권, 전기차 폐배터리 끝장내기 (김미송, 김충현 저)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