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채진 투자자님
- 롯데케미칼 입사후 펀드매니저 생활
- 개인투자자로 큰 부를 일구셨음.
1. 세상에는 어떤 일도 일어날 수 있다. (어느정도 현금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2. 경제전망(거시경제)이 틀린다해도 자신만의 주관이 있어야 수정하고 대응할 수 있다.
3. 자신의 실수를 깨달았을때는 손실(비용,시간)을 아까워하지 말고 즉시 빠져나와야 한다.
4. 모든 공에 방망이를 휘두를 필요는 없다. ( 잘 알때만 투자한다.)
5. 경제는 금리사이클에 연동된다.

6. 금리가 높을 때는 조심하고 금리가 낮을 때는 용기를 내야한다. 그 외에 경제지표에 대한 판단은 알 수가 없다.
7. 경기는 안좋지만(언론의 공포) 쏟아지는 돈으로 인해서 부양될때는 주식은 긍정적.
8. 금리를 올리고 난후 중간구간부터는 조심해야한다. (현금성 자산 30~50%정도이나 정말 싼가격인 좋은 회사에만 투자)
9. 장단기 금리차가 -에서 +로 갈 때 금융위기가 옴.
*장단기 금리차 = 10년물 금리 - 2년물 금리 (기준금리 인상)
*장단기 금리차가 - : 장단기 금리역전현상
1) 10년물금리가 일정하다= 장기전망이 불확실하다
2) 2년물 금리는 상승한다. = 인플레압력이 높아져서 기준금리를 인상시켜서 경제주체의 조달비용이 증가함.
3) 그런데 장기전망은 불확실하고 어두움.

10. 기회는 또 온다.
11. 초보투자자의 자산투자는 금리가 낮을 때는 공부가 조금 부족해도 시작하기 괜찮다.
12. 경제는 장기적으로 우상향한다.
13. 크게 잃으면 복리가 훼손된다. 잃을 가능성과 손실폭이 어느정도인가를 고려하라.
'투자 철학.마인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한 투자자 <슈퍼개미 이주영> (0) | 2021.08.09 |
---|---|
피터린치 1994년 강연(National Press Club) 요약 (0) | 2021.07.21 |
언제 매수를 시작해야 하는가? (하워드막스) (0) | 2021.05.21 |
성장주 투자 vs 가치주 투자 (0) | 2021.05.18 |
워렌버핏 1999년에 작성한 글 (0) | 2021.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