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1년 1분기 생산량 18만338대 판매량 18만4800대이다.
1. 테슬라는 자체 os운영, 차의 구조가 단순하고 반도체 적게 들어간다.
- ECU 테슬라 모델3 5개 VS 타회사 30~100개
2. 테슬라는 차종이 적어 재고 관리에 유리하다.
-그나마도 모델3와 Y는 통합전자제어 설계가 유사하다.
3. 테슬라는 핵심칩을 직접 설계한다. 공급망 파악능력 및 재고 관리 우수.
- 타회사의 경우) 반도체 회사 -> 큰 부품업체서 조립 -> 자동차회사에 납품하는 식.
4. 테슬라는 OS , 전자제어 , SW 의 통합설계 실력 갖추고 있다.
5. OS, 전자제어, SW를 각각 발전시켜나가는 것도 통합 설계하는 것도 다른 업체들은 달성하기 쉽지 않다.
6. 더 중요한 배터리 개발, 수급에 대해 수직통합적으로 움직이는 회사는 테슬라 단 하나뿐이다.
7. 폭스바겐은 노스볼트 지분 투자후 단순 납품을 받는게 배터리 내재화라고 말한다.
8. 폭스바겐이 말하는 배터리 내재화와 테슬라가 말하는 이 것은 전혀 다르다.
더보기
자율주행차 뿐 아니라, 전기차의 하드웨어 경쟁력조차도 결국엔 소프트웨어가 규정하게 될겁니다.
(조선일보 최원석기자님)
읽어보세요. 최원석 기자님 좋은 글 감사합니다.
반응형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구독서비스시작/포드막이분해/리비안대량생산언제? (0) | 2021.07.17 |
---|---|
tesla vs ice 사고발생대비 기사수 (0) | 2021.04.21 |
테슬라 사고 요약 (0) | 2021.04.20 |
테슬라 1분기 딜리버리 발표 이후, 언론 기사를 보면 갑갑하다. (0) | 2021.04.04 |
테슬라의 자율주행을 카피할 수 없는 이유 (0) | 2021.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