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당이란?

- 기업이 돈을 벌고 쓰고 남은 돈을 주주에게 나누어 주는 것이야.

 

 

 

 

저기 빨간 곳을 보면 배당수익률 탭에서 배당수익률을 확인할 수 있어. 

적금 금리랑 비슷한 개념이라고 봐도 좋아. 배당수익률이 10%면 해당주식을 100만원어치 샀을 때 1년에 배당을 10만원 받을 수 있다는 뜻이지.

지금은 배당공시가 나지 않아서 N/A로 표기되는데 나중에 저기에 수익률이 몇 %인지가 떠. 

그리고 주가에 따라서 저기 배당수익률은 실시간으로 변화해. 

 

 

네이버 종합정보탭에서 확인할 수 있어.  하나씩 살펴보자.

아 그리고 네이버 금융을 즐겨찾기 해두면 좋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예상) 자료야.

주당배당금이란  1주를 갖고 있을 때 너에게 얼마만큼 배당해주는 금액. (1년 총금액이야.)

시가배당률은 위에 배당수익률과 비슷하다고 보면 되겠고

배당성향은 기업이 남은 돈(잉여금)을 얼마나 배당으로 주는지를 나타내는 정도야. 

예를 들어 배당성향이 10%면 잉여금의 10%를 배당으로 준단 의미고 배당성향이 100%면 잉여금 전부를 주주에게 배당해준단 의미겠지.

그래서 배당성향이 100%를 넘어가면 기업이 자기 재산을 팔아서 돈을 주는 거니까 기업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겠지. 

그래서 배당성향이 높다고 꼭 좋은 것만은 아니야. 

 

 

 

기업이 남은 돈(잉여금)을 사용하는 4가지 방식.

- 기업이 벌어서 생긴 돈을 사용하는 방식에는 3가지가 있어.

 

1. 그냥 회사에 돈 쌓아두기. (어려운 말로는 유보한다고 하지.)

2. 주주에게 돌려주기

- 배당을 준다.

- 자기 회사 주식을 사들인다.

3. 회사의 미래를 위해 투자하기

 

1번의 경우부터 살펴보자. 회사의 돈을 쌓아두면 여러모로 좋은 점도 있고 안 좋은 점도 있어. 위기때 버틸 수 있는 힘이 있다는 것은 좋지만 계속 돈을 쌓아두기만 하면 회사의 실력이 떨어지는 것을 의미하기도 해. ( 10억가지고 1년에 1억벌어들이는 회사보다 1억가지고 1년에 1억 버는 회사가 좋겠지?)

한국 기업들은 이런 경우가 많아. 또한 주주에게 이득을 나눠주지 않으니까 너무 쌓아두기만 하면 투자자인 우리에겐 좋을게 없겠지?

 

2번의 경우는 주주에게 좋지. 

배당은 설명했으니 패스하고, 자기 회사 주식을 사들이는 경우가 있어. 자기 회사 주식을 어려운 말로 자사주 라고 해.

만약에 A라는 물건이 세상에 100개가 있다고 쳐보자. 그중에 90개가 사라져서 10개만 남았다고 하면 A의 가치는 올라가겠지?

10개에서 1개로 줄어들면 세상에 1개밖에 없는 것이니 더욱 가치가 올라갈거야.

마찬가지로 기업의 발행된 총 주식수가 줄어들면 너가 들고 있는 주식의 가치는 올라갈거야.

회사가 잉여금으로 자기 주식을 사서 없애는 경우를 자사주 매입 (자사주 소각)이라고 해.

그러면 만약 너가 그 주식을 들고 있다면 희소해지니까 주식의 가치는 올라가겠지. 실제로 주가가 상승해 . (애플이 이런 방법을 많이 사용해.)

 

3번의 경우는 잉여금을 투자하는데 전부 쓰면 주주에게 배당을 적게 주거나 한푼도 안주는 경우가 있어.

테슬라는 매년 막대한 설비 투자를 하고 있어. 그래서 잉여금을 투자하는데 많이 쓰기 때문에 배당을 주지 않지.

그럼 배당을 주지 않는 회사는 나쁜 회사일까? 

회사가 성장을 이미 끝낸 경우에는 투자를 더이상 안하는 경우가 많아서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으로 주주에게 이득을 돌려주는 게 맞고

성장하는 회사인 경우에는 배당을 주는 것보다 회사를 더욱 발전시키는데 돈을 쓰는게 좋겠지. 

 

다음 시간에는 배당수익률의 함정에 대해서 공부해보자.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