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일반화라는 것은 여러 개별적 경험(사례)로 부터 지식을 끌어내는 것이다.

 

2. 일반화의 결과, 경험적 편견이 생기기도 한다. 

3. 경험적 편견은 왜 발생하는가?

- 너무 성급하다. 왜 성급한가? 우리의 삶은 짧고 바쁘다.

- 너무 연약하다. 더이상 상처받고 싶지 않다.

 

상황1

어떤 여자가 3번의 연애를 했다고 가정하자.
(이 여자가 운이 없게도) 상대방은 모두 바람둥이였다.

 

우리는 경험을 통해, 올바르고 쓸모있는 지식도 쌓아가지만, 편견도 쌓아간다.

 

이 여자는 이렇게 말할 수 있다.

A: 모든 남자는 바람둥이다. 나는 앞으로 남자를 만나지 않고 미워하겠어.
B: 내가 운이 없었지. 4번째는 아닐 것이다. 다른 남자를 만나보자.
C: 3번이나 반복되네. 나에게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닐까?

 

B의 경우는 자신에게 온 비극을 개별사례로 여기는 것이다. 개별사례로 여긴다면, 4번째 시도를 할 수가 있다.

C의 경우는 자신에게서 문제점을 찾는 것이다. 자신에게 문제점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만약 자신에게 문제점이 있었다면, (바람둥이가 가진 기질적 특성을 특히 선호한다거나) 이를 수정하고 보완해서 4번째 시도를 할 수가 있다.

 

 

A의 경우는 어떤가? 아무런 효익이 없다. 그리고 심지어 이 명제가 틀렸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우리 삶에서 실제 우리가 사고하는 방식은 어떠한가? 

전라도는 안된다. TK는 안된다. 좌파는 어떻다. 우파는 어떻다. 여자는 어떻다. 남자는 어떻다.

 

차라리 그냥 개별사례로 받아들인다면 최소한 4번째 시도를 할 수 있는 효익이 있고,

자신에게 문제점을 찾는다면 기존보다 더 효과적인 4번째 시도를 할 수도 있다. (자신에게 문제점이 없을 수도 있으니까)

 

 

우리는 인생을 살아간다. 젊었을 적엔 모든 것이 새롭다. 처음 겪는 것은 개별사례로 받아들인다.

하지만 우리 삶이 지속되고, '나'는 크게 변하지 않는다.

'나'는 하던 방식대로 사람을 대하고, '나'는 하던 방식대로 일을 한다. 

같은 각도로, 같은 힘으로 공을 던진다. 그 각도 그대로 반복하고 비슷한 경험들을 축적한다.

일련의 경험들은 경험적 지식을 만들어내기도 하지만, 경험적 편견도 만들어낸다.

그리고 형성된 편견은 다음에 벌어질 개별사례에 대한 평가를 오해석하게 한다.

 

아버지에게 상처를 입은 아이들의 의식에는 아버지 나이대의 남자들에 대한 '의견'이 존재한다.

그 '편견'은 자신의 '편견'에 들어맞는 사례에 가중치를 주고, 반례 사례는 무시하고 주목하지 않는다.

그렇게 편견은 점점 강화된다. 나이가 들 수록...

 

개별 사례는 개별 사례로 받아들여야 한다. 

개별 사례는 충분히 반복되어야 의미가 있다.

첫번째 남자와 두번째 남자 그리고 세번째 남자는 바람둥이가 맞다고 모든 남자가 바람둥이라고 주장하기에는 사례가 너무 적지 않는가?  세번의 경험은 소수의 사례라고 해도 괜찮지 않나?

4번째 시도가 보다 의미있어지려면, 자신에게 문제점이 있는지 점검해보고 보완해서 시도하는 것이 더 유익할 것이다.

 

 

만약 이 여자가 100명의 남자를 만났는데, 90명 정도가 바람둥이였다.
이 경우라 할지라도, 대부분의 남자는 바람둥이다. 라는 명제를 이끌어낸다고 말할 수도 없다.
아마도 이 여자는 바람둥이가 가지는 특성을 선호하는 기호를 지니고 있거나, 바람둥이가 선호하는 종류의 여자일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
심지어 이 여자는 일반적인 남자를 바람둥이 남자가 되도록 이끌어내는데 재능이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예시를 그냥 든 것이지만, 조금 옆길로 빠지자면,

인간은 상대하는 사람이 누구냐에 따라 다르게 행동한다. 누구에게나 친절한 인간이라 할지라도, 그 방식은 다르다.

우리는 친구를 대하듯, 살인자를 대하지 않는다.

친절한 금자씨가 베푸는 친절은 대상이 어린이냐, 그 대상이 어른이냐에 따라 방식이 달라진다.

 

남을 변화시키는 것은 어렵기도 하고, 변화를 시킨다 할지라도 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내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변화시킨다면, 길가에 핀 잡초조차 아름다워 보일 수 있는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