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리바트는 B2C, 사무용, 빌트인 가구 등을 제조 및 판매하는 종합가구회사이며, 주요사업은 가구제조 및 판매, 일반상품 및 기업용 의류 도·소매및 판매업 입니다. 품목의 구분 편의상 B2C, 사무용 가구, 빌트인 가구, B2B 부문, 기타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현대리바트의 매출은 B2B(32%), B2C (26%) , 빌트인가구(23%) 가 주력이고, 매출 포트폴리오가 골고루 분산되어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2. 기타 사항
현대리바트의 공장은 경기도 용인시와 안성시, 경상북도 경주시 등에 소재합니다. 최대주주인 현대그린푸드가 41% 지분을 갖고 있습니다. 현대리바트의 시가총액은 3940억입니다. (2021.08.06 종가기준)
3. B2C 부문
개인의 기호가 반영된 가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 1~2인 가구의 증가 등 생활문화 변화로 인해 온라인 시장이 높은 신장세를 보입니다. 가구 산업은 내구재인 만큼 경기의 변동에 민감합니다. 결혼및 이사 시즌인 봄과 가을이 B2C 가구의 최대 성수기.
홈 키친웨어 브랜드인 윌리엄스 소노마(Williams-Sonoma)와 캘리포니아 내추럴 컨셉의 프리미엄 홈퍼니싱 브랜드인 포터리반(pottery barn)은 가구뿐만 아니라 시즌에 맞는 식기에서부터 베딩, 조명 홈데코까지 대부분의 제품을 직접 디자인하여 제작하고 있으며 산림 관리협의회(FSC)에서 인증한 목재를 사용하여 지속 가능한 산림경영을 실천하고 있습니다.안전한 디자인과 고품질의 포터리반 키즈(pottery barn kids)는 아동용 가구, 침구, 소품, 액세서리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뉴욕 브루클린 감성 모던 홈퍼니싱 브랜드 웨스트엘름(West Elm)은 15개국, 35명의 수공예 장인, 그리고 약 5천 명이 넘는 사람들의 손을 거쳐 독창적이며 장인정신이 담긴 상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환경보전을 위하여 섬유와 원단에 살충제나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농인증을 받아 재배된 섬유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월리엄스 소노마, 포터리반, 포터리반 키즈, 웨스트 엘름등 해외 브랜드 공급중입니다.
4. 사무용 가구부문
시장규모의 증대와 다양한 소비자 욕구의 급속한 확산으로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로의 신속한 대응이 향후 시장 경쟁력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사무용 가구시장 규모는 약 1조 원 정도로 추산되고 있으며, 기업의 사무환경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필수재로서의 성격이 강합니다.
'스마트 오피스'라는 개념은 미래의 먹거리.
중국 및 동남아 등 수입제품의 영향 또한 중요한 경쟁요소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B2C 가구의 경우는 이미 중국 및 동남아 등의 제품이 국내시장에 진입하여, 그 점유율 또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지만, 사무용 가구의 경우 중국제품 등이 국내제품과의 현격한 경쟁력 차이로 그다지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있었으나, 최근 들어서는 외국 투자기업의 중국진출, 중국 내 IT 관련 벤처기업 및 고급 오피스 건물 분양 증가에 따라 중국산 사무용 가구의 경쟁력이 높아졌으며,향후 중국제품의 수입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SNS를 기반으로 한 미디어 영향력의 증가로 기업은 대중이 요구하는 사회적 가치를 중요시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친환경 소재 및 재활용 가능성의 측면 역시 기업이 제품을 선택하는 주요 기준 중의 하나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미닝아웃(Meaning out) : 소비를 통해 자신의 신념이나 가치를 표현하는 행위. MZ세대의 소비성향을 말함.
현대리바트뿐만 아니라 한샘, KCC, LG하우시스 등도 친환경 행보중입니다.
5. 빌트인 가구
빌트인 가구는 주로 건설업체의 신규주택을 대상으로 납품되는 가구를 말합니다. 내수 경기뿐만 아니라 직간접적으로 주택건설 경기와 밀접한 상호 연관성을 보입니다. 향후에는 주택공급확대정책 및 재건축, 재개발, 고도제한 해제에 따라 시장의 성장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빌트인은 당연하게도 주택건설 경기와 밀접합니다.
빌트인 가구 산업의 경우에는 타 가구산업과는 달리 건설경기에 민감한 영향을 받으며, 계절적인 요인에 의해서 받는 영향은 겨울철 건설 부문의 위축에 따른 영향 외에는 성수기와 비수기의 계절 변동 폭이 그리 큰 편에 속하지는 않습니다.
향후 빌트인 가구 산업 역시 웰빙, 친환경 붐 등에 따라 친환경 제품이 시장의 대세를 이룰 것으로 보입니다. 국토교통부의 친환경 주택건설기준 상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 건설 시 실내오염물질 저방출 건축자재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에 따라 해당 기준에 부합하는 친환경 제품이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공능력평가 50위 이내의 중심으로 한 우수한 건설업체로 영업영역을 확대하였습니다.
주문 제작방식에 의한 건설업체에 대한 매출은 대량구매에 따른 원자재 구매 단가절감, 계획생산에 의한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고 손실 부담이 전혀 없어 당사 수익성 제고에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빌트인 부문의 매출 증대가 현대리바트 수익성 증가에 큰 역할을 하네요. 앞으로 분양 공급이 증가한다면 후행적으로 실적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겠네요. 주가는 물론 선행해서 반응하지 않을까요?
건설업체와의 계약은 상관습상 신용거래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미분양 과다 발생, 부실경영 등에 의한 부도, 법정관리신청으로 인한 채권 회수의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습니다. ->부도는 당연하고... 미분양이 과다 발생하면 현대리바트 실적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군요.
따라서 당사는 안정적인 채권 회수를 위하여 금융기관 신용평가 BBB 이상의 우량 중견건설업체 위주로 영업을 하고 있으며, 중소건설업체의 경우 분양률이 70%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영업을 하고 있습니다.
2012년~2016년 부동산시장의 성장에 힘입어 따라 빌트인 가구 부문은 시장을 확대할 수 있었으나, 이후 건설시장의 판도를 예측하기 어렵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현대리바트는 중대형 우량 건설사 중심의 영업을 강화하며, 범현대계열 건설사 공략확대, 연간납품단가 계약 우량 거래선을 확대함으로써 수익 창출 가능한 대형현장, 수익확보 현장 수주를 우선으로 하고 있습니다.
6. B2B 부문
B2B는 기업과 기업 간의 자재 및 부품의 유통거래를 지칭합니다. B2B 산업재 도매 및 중개업에 속한 기업들은 특정 산업에 국한되지 않고 다수의 기업에 다양한 종류의 산업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B2B 부문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대규모 유통사 위주 거래와 품목별 제조사 직거래 방식을 순환적으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유통사 선정 시 발주자는 구매인력 절감 등 구매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는 강점이 있으며, 대규모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는 국내 대기업 계약 구매대행사가 당사 대비 규모의 경제를 통한 경쟁우위에 서게됩니다. 제조사 직거래 방식 선정 시 유통사는 고부가가치 전문 자재 유통이 어려워지며, 국내외 제조사 및 총판사가 당사 대비 경쟁우위에 서게 됩니다.
-> 제품 제조사는 물건을 만들려면 원자재, 부품이 필요한데, 대형 제조업체가 원자재를 대량 수입하여 재고를 확보하고 중소형 제조사에 원자재를 공급합니다. 이럴 경우 대형 제조사는 원자재를 싸게 살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원자재 유통, 공급을 통해 이익을 취할 수 있습니다. 제조사이면서 원자재 유통을 쥐고 있는 대형회사는 제품 단가 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습니다.
Danimer Scientific(티커:dnmr)이Novomer를 인수했다는 기사가 2021년 7월 29일 보도되었습니다.
Danimer는 1억 5,200만 달러에 Novomer를 인수했습니다.
거래는 규제 승인 및 기타 관례적인 마감 조건에 따라 2021년 3분기에 완료될것으로 예상합니다.
1.Novomer는 어떤 회사?
뉴욕 로체스터에 파일럿 공장을 갖고 있습니다.
독점 Novo22™ 촉매와 100개 이상의 발행된 특허와 140개 이상의 특허 출원 중인 광범위한 지적 재산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Novomer에는 약 20명의 직원이 있습니다.
2. 인수함으로써 얻게 되는 효과는?
Nodax®는 Danimer의 시그니처 PHA입니다.
Novomer의 p(3HP)는 서로 다른 특성과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Nodax®는 강력한 성능과 생분해성을 갖고 있어 다양한 최종 사용 응용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p(3HP)는 차단 특성이 개선되었습니다.
Novomer의 p(3HP)를 Danimer의 고객 솔루션에 통합함으로써 Danimer는 훨씬 더 넓은 범위의 고객 요구를 충족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당히 낮은 비용으로 수지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합니다.
또한 이러한 투입물을 혼합함으로써 Danimer는 수지 생산에 필요한 발효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회사는 더 적은 발효기를 포함하고 Novomer의 생산 능력을 확장하기 위해 조지아주 Bainbridge에 있는 새 시설에 대해 이전에 발표한 미개발 건설 계획을 수정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노보머를 인수함으로써 계획된 자본 지출을 의미 있게 줄이는 동시에 Kentucky Phase II 확장의 완료를 고려할 때 전달할 수 있는 완제품의 예상 전체 볼륨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합니다.
Novomer의 단순화된 제조 및 운영 프로세스는 우리가 이전에 예측했던 것보다 훨씬 낮은 파운드당 평균 자본 지출로 생산 능력을 확장하고 확장할 수 있는 능력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원문기사를 참고 했습니다.
Danimer는 증가하는 고객 수요를 수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생산 비용을 낮추는데 집중한다고 합니다.
3. 다니머의 노보모 인수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Danimer는 Novomer를 인수함으로써 크게 3가지 이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첫 번째는, 제품 다양성의 확보로 인해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음.
두 번째는, Novomer의 단순화된 제조프로세서, 그리고 발효기를 줄임으로써 전체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
세 번째는, 전체 생산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생산 비용을 낮출 수 있음.
다니머 사이언티픽(DNMR)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 공장을 확장 및 증설중이나 넘치는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고 아직은 공장 수율이 잡히지 않고 있다.
두 번째, 아직은 PHA의 생산 비용은 낮은 편은 아니다.
세 번째,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를 감당할 수 있게 제품의 다양화를 추구해야 한다.
이런 점들을 고려해봤을 때, Novomer 인수건은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Danimer는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서 생산비용을 낮추고, 넘치는 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 케파를 빠르게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케파를 빠르게 늘리는 방법에는 공장 증설과 수율 개선이 있습니다. 미래 수요가 넘쳐도 그걸 먹어치워가면서 확장시켜나가지 못하고 다른 기업에게 뺏긴다면 매력적인 회사라고 볼 수 없겠습니다.
대니머 사이언티픽(DNMR)이 생산을 얼마나 빠르게 확장시켜 나갈 수 있을지 관심을 갖고 지켜보며 조금씩 투자를 하는 중입니다.
4. Danimer의 하락원인은?
인수 자금 확보를 위한 유상증자 발행을 투자자들이 두려워하는 것 같습니다.
유상증자 발행을 할 수도 있지만, 장기적으로 바라본다면 기업의 매출확장 국면에서는 이러한 일들은 당연한 것이 아닐까 생각도 합니다. 지금 당장 현금도 빵빵하고 유증의 위험도 없다면 더 비싼 가격에 거래되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Phillip Van Trump, Chief Science and Technology Officer of Danimer, added, "Novomer has proven its technology in pilot applications and we have validated the biodegradability of Novomer’s biopolymers through rigorous assessment and third-party testing. We believe that by incorporating Novomer’s technology in our processes, we can further enhance production to meet our customers’ commercial needs with a broader suite of biodegradable solutions. In addition to using Novomer’s p(3HP) as an input in, and in conjunction with, the production of Nodax® based resins, this technology can also be used to produce acrylic acid from renewable and other sources for use across superabsorbent polymer ("SAP") products like diapers and feminine hygiene products. Also, the addition of Novomer’s world-class scientists, engineers and technicians to the Danimer team, as well as its broad portfolio of patents, presents meaningful opportunities to develop new applications and drive continued innovation and growth in the years ahead."
Novomer’s Chief Executive Officer, Jeff Uhrig, will report to Danimer CEO Stephen E. Croskrey and will continue to lead the Novomer team in coordination with Danimer’s senior leadership.
"We’re thrilled to join Danimer and its outstanding team, who share our commitment to the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f biodegradable products," said Mr. Uhrig. "Danimer is at the forefront of the bioplastics industry as a premium biopolymer supplier and we look forward to leveraging its valuable resources and go-to-market expertise to scale efficiently together and address growing global blue-chip customer demand for our solutions."
Danimer의 최고 과학 및 기술 책임자인 Phillip Van Trump는 다음과 같이 덧붙였습니다. "Novomer는 파일럿 응용 분야에서 기술을 입증했으며 우리는 엄격한 평가와 제3자 테스트를 통해 Novomer의 생체 고분자의 생분해성을 검증했습니다. 우리는 Novomer의 기술을 우리의 제품에 통합함으로써 공정을 통해 더 광범위한 생분해성 솔루션 제품군을 통해 고객의 상업적 요구를 충족하도록 생산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Novomer의 p(3HP)를 Nodax® 기반 수지 생산과 함께 투입물로 사용하는 것 외에도, 기술은 기저귀 및 여성 위생 제품과 같은 초흡수성 폴리머("SAP") 제품 전반에 걸쳐 사용하기 위해 재생 가능 및 기타 소스로부터 아크릴산을 생산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Novomer의 세계적 수준의 과학자들이 추가되어Danimer 팀의 엔지니어와 기술자와 광범위한 특허 포트폴리오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향후 몇 년 동안 지속적인 혁신과 성장을 주도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Novomer의 CEO인 Jeff Uhrig는 Danimer의 CEO Stephen E. Croskrey에게 보고하고 Danimer의 고위 경영진과 협력하여 Novomer 팀을 계속 이끌 것입니다.
Uhrig씨는 "생분해성 제품의 개발 및 제조에 대한 우리의 약속을 공유하는 Danimer와 뛰어난 팀에 합류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Danimer는 프리미엄 바이오폴리머 공급업체로서 바이오플라스틱 산업의 최전선에 있으며 우리는 함께 효율적으로 확장하고 우리 솔루션에 대한 증가하는 글로벌 우량 고객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귀중한 자원과 시장 진출 전문 지식을 활용하기를 기대합니다."
테슬라 판매량은 연평균 40% 상승한다고 가정한다. 올해만 해도 100만대를 넘길 수도 있을 거 같지만...
20년은 50만대
---------------
21년 70만대
22년 100만대
23년 140만대
24년 196만대 (보수적으로 190만대)
25년 266만대 (보수적으로 260만대)
21~25 누적 판매대수 : 760만대 (초!보수적)
월 구독료:200불 1년 구독료 :2400불
760만대 100% 구독할 경우 760만X2400불=18b
10% 구독시 = 연간 1.8b (현재 구매율 11%)
극 보수적으로 2025년쯤 연간 1.8b이상 , 현재 총 시가총액 622b 러프하게 보수적으로 재미로 추정해봤으니 욕하진 말자.
그리고 거기다 복리이다. 테슬라 차량은 매년 팔릴 것이고 수익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당연하게도 SW이기때문에 고정비는 연구개발비이고, 순이익률은 높을 거라 본다.
물론 판매대수는 내 예상보다 더 빠른속도로 올라갈 것이라 추정되고
향후 FSD 개선에 따라 채택률을 훨씬 올라갈 것.
물론 테슬라 판매자체의 마진을 떨어지겠다고 할 순 있겠으나 (실제론 그렇게 떨어지지 않다고 본다. 이유는 상술하면 길어지는데... 규모의 경제로 갈 수록 생산비가 줄어들게 되는 부분, 스페이스X의 소재기술을 이용한 기가프레스등의 개선은 생산비를 더더욱 절감시킬 수 있다고 본다.)
FSD가 개선됨에 따라 채택률이 높아지면 , 테슬라는 차량 판매가를 극한까지 내릴 수 있다는 선택지가 주어지게 된다.
EX) 삼성의 치킨게임.
차량을 노마진으로 팔고, FSD로 수익을 추구할 수가 있다.
테슬라만이 가능한 파괴적인 선택지이다. 더 무서운 것은 FSD는 테슬라의 비지니스중 하나일 뿐이라는 것이다.
정작 중요한 , 테슬라의 알짜배기 비지니스는 AI 관련해서 나올 것이다.
지금은 아무도 모르는... 아마존에겐 AWS가 그 포지션이다. (핵심 수익원)
실상 아마존이 클라우드로 돈 벌거라고 누가 생각했는가?
나는 그런 비지니스가 테슬라의 AI기술에서 파생되어 나올 것이라고 본다.
러프하게 보수적으로 재미로 추정해봤으니 욕하진 말자.
FSD의 개선은 너무 멀지 않냐고 반문할 수 도 있겠다.
FSD가 우리 삶에 빠르게 다가온다고 보느냐, 아니면 아직 너무 먼 미래다라고 보느냐의 차이는
비시 프로퍼티스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시저스 팰리스를 포함하여 시장을 선도하는 게임, 환대 및 엔터테인먼트 목적지의 가장 큰 포트폴리오 중 하나를 소유하는 체험 부동산 투자 신탁입니다. VICI Properties의 지리적으로 다양한 포트폴리오는 4,700만 평방피트로 구성된 28개의 카지노 시설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18,000개의 호텔 객실과 200개 이상의 레스토랑, 바 및 나이트클럽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 속성은 시저스, 센추리 카지노, 하드 록 인터내셔널, 잭 엔터테인먼트 및 펜 내셔널 게임을 포함하여 업계 최고의 게임 및 환대 사업자에 임대됩니다. VICI 속성은 또한 4 개의 챔피언십 골프 코스와 34 라스베이거스 스트립에 인접한 미개발 토지의 에이커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VICI Properties의 전략은 미국에서 가장 높은 품질과 가장 생산적인 체험 부동산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것입니다. 홈페이지: www.viciproperties.com
- 시총은 16조. (16B)
1. 상장후 지금까지 주가 흐름
2. 코로나 불황에도 매출, 이익 증가
2019
2020
매출
8억9500만달러
12억2600만 달러
순이익
5억5400만달라
8억9600만달러
배당수익률
분기배당(1,4,7,10월)
연 4.21% ( 2021.07.19기준)
호텔, 카지노 리조트 리츠인데 코로나에 타격이 없었다. 오히려 배당을 올렸다.
강방천 회장님이 말했다. 불황을 즐기는 기업과 함께하라!
비시프로퍼티스는 과연 그런 회사인가?
3. 부가 늘어나고 있다.
- 부는 더욱 늘어난다. 사람은 돈이 있으면 오락(카지노, 엔터테이먼트, 유흥)을 즐기고 싶어한다.
- 체험형 오락거리인 호텔, 카지노 리조트 수요는 더 성장하지 않을까?
- 실제로 미국에선 온라인 카지노가 합법화된다. (현재 21개주 합법화 완료, 2022년까지 39개 주로 확대)
* 의아해 할 수 있는데 시저스 엔터테이먼트(CZR)는 현재 온라인스포츠베팅 시장에 발을 들임.
- 카지노 운영사에 투자하고 싶으면 시저스 엔터테이먼트(CZR)
- 시저스 엔터테이먼트에게 렌트비를 받는 부동산 임대업에 투자하고 싶으면 비시프로퍼티스(VI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