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적 방어기제
1. 부정
2. 투사 ㅡ 남탓
ㅡ 가장 미숙한 형태의 방어기제
3.합리화
긍정적 방어기제
1. 억제 ㅡ 문제해결이 가능할 때까지 부정적 감정등을 일단 참고 억누르는 것.
2. 승화 ㅡ 생산적인 활동으로의 전이.
3. 이타주의 ㅡ 남을 돕는 것.
4. 유머
전체 글
- 방어기제의 종류 2022.02.10
- vip자산운용 최준철 대표가 말하는 기업분석 항목 2022.01.23
- 사이버트럭 연기루머로 인한 하락에 대해서 2022.01.14
- Tiger차이나항셍테크 구성종목 소개 2021.12.27
- 폐배터리 산업분석 2021.12.26
- 4680배터리의 의미 (카나코드 Jonathan 인터뷰) 2021.12.25
- SGC에너지 주요사업 2021.12.21
- 수소발전의무화제도(HPS) 투자아이디어 2021.12.16
방어기제의 종류
vip자산운용 최준철 대표가 말하는 기업분석 항목
vip자산운용 최준철 대표가 말하는 기업분석 항목으로 김작가tv에서 인터뷰한 내용 중 일부를 정리한 것입니다.
다음 말하는 항목과 비슷한 항목으로 보고서가 대표님께 올라간다고 합니다. 분량은 보통 30페이지 가량 되는 것 같습니다.
1. 무슨 제품을 만드는 회사인가?
2. 산업의 특징은?
3. 이 회사는 거기서 어떤 사업을 하는가?
4. 매출은 어떻게 나고 비용은 얼마고?
5. 비용은 늘어나는 추세인지 줄어드는 추세인지
6. 산업의 전망은 어떠한가?
7. 그 안에서 파이를 늘려가는지, 줄여가는지
8. 중기적으로 좋아질 요소가 무엇인지
9. 장기적으로 뭘 보고 가야 하는건지
10. 리스크는 뭔지
10. 이 회사는 이 가격에 사야 된다. 말아야 한다.
'투자 철학.마인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립피셔가 말하는 매수타이밍 (0) | 2022.06.09 |
---|---|
대중화에 도달할 수 있는 산업과 제품인가? (0) | 2022.03.12 |
테슬라 애플 스타벅스의 공통점 , 브랜드는 견고한 해자 - 찰리멍거 (0) | 2021.12.06 |
주식시장의 17가지 미신 (0) | 2021.12.04 |
시장은 투자와 아무 상관없다 - 피터린치 (0) | 2021.12.02 |
사이버트럭 연기루머로 인한 하락에 대해서

1. 사이버트럭은 현재 주가에 반영이 안되어있는데
FUD로 인해 하락했다. 약 6%대.
2. 브레이너드의 매파적 발언이 있었다.
3. 현재 증권사 대부분의 PT에는 베를린, 텍사스 공장 가동 시작은 주가 반영이 안되었고, 일부 bullish 증권사에서는 반영을 했지만, 보수적으로 책정했다.
4. 3에 좀더 보태자면 월가는 22년 테슬라 생산을 약 130만대, 아담조나스등은 약 140만대로 잡는데
150만대이상은 충분히 할것으로 보인다.
5. 테슬라팀은 언제나 가장 빠르게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있다.
6. 전통적인 자동차 밸류모델로는 테슬라 가치측정엔 오류가 생긴다.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니머 21년 4분기 실적 총평 (2) | 2022.03.05 |
---|---|
고려신용정보 분석 (0) | 2022.02.28 |
Tiger차이나항셍테크 구성종목 소개 (0) | 2021.12.27 |
4680배터리의 의미 (카나코드 Jonathan 인터뷰) (0) | 2021.12.25 |
SGC에너지 주요사업 (0) | 2021.12.21 |
Tiger차이나항셍테크 구성종목 소개
Tiger차이나항셍테크 구성종목 소개
1. 서니 옵티컬테크 9%
광학렌즈 ㅡ 스마트폰 등 주요부품
2. 텐센트 8.61%
라이엇게임즈 lol등 보유, 카카오 2대주주, 세계최대규모 게임회사
3. 샤오미 8.27%
전자제품 제조 및 판매, 시총 약 90조원 규모
4. 메이퇀 디엔핑 8.15%
배달의민족과 같은 비지니스를 시작으로 많은 회원수를 기반하여 사업영역을 확장중.
호텔, 공연예약, 구인구직등
배민 링크드인 당근마켓 합친거라 보면 됨.
시총 약 220조.
5. 콰이쇼우 7.64%
쇼트폼(짧은 비디오)앱, 틱톡과 유사한 플랫폼.
6. 알리바바 7.61%
중국 아마존, 타오바오, 알리클라우드,알리페이등 다양한 사업 영위. 시총은 약 540조.
7. 징동닷컴 JD.COM 6.53%
알리바바 다음인 2위 전자상거래 플랫폼. 시총은 약 817b.
8. SMIC 4.83%
중국 반도체 파운드리 회사. 중국에서 가장 큰 반도체 위탁 생산기업. 경쟁사는 tsmc 삼성전자.
시가총액은 234b. 한화 약 260조.
9. 넷이즈 4.56%
포탈 및 게임산업 영위함. 텐센트가 1위 넷이즈 2위. 시총은 511b.
10. 하이어 스마트홈 4.53%
하이어그룹의 자회사인듯? 하이어는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컴퓨터, TV등을 판매하는 가전회사.
하이어 스마트홈은 시총 258b.
11. JD Healthe international 3.92%
징동닷컴의 자회사. 헬스케어 섹터. 시총은 193b.
12. 레노버 그룹 3.8%
스마트폰, 데스크톱, 노트북, 워크스테이션(고성능 개인용 컴퓨터), 서버 등을 판매하는 가전회사. IBM의 PC사업부분을 인수 후 PC사업 진출. 시총은 107b.
13. 킹디 3.52%
더존비즈온과 같은 사업을 영위함. ERP 사업이 메인. (전사적 자원관리)
전사적자원관리(ERP) - 기업의 모든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통합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이하 종목은 생략합니다.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신용정보 분석 (0) | 2022.02.28 |
---|---|
사이버트럭 연기루머로 인한 하락에 대해서 (0) | 2022.01.14 |
4680배터리의 의미 (카나코드 Jonathan 인터뷰) (0) | 2021.12.25 |
SGC에너지 주요사업 (0) | 2021.12.21 |
우리넷 기록용1 (0) | 2021.12.13 |
폐배터리 산업분석
폐배터리 산업분석
1. 국내 전기차 폐배터리 산업현황
* 제주시 배터리 산업화센터
* 초기 용량 대비 70% 이하면 교체 필요함.
* 2028년부터 본격 성장.
2. 폐배터리 시장성
* 전기차 1대당 100만원의 가치. (니켈 코발트)
* 국내 연간 말소차량 130만대, 모두 전기차 가정시는 1.4조원 시장.
* BEV 용량은 40kwh로 스마트폰 이차전지 용량의 4000배.
3. 폐배터리 처리방법 ( 1. 재사용 )
* 1. 재사용 (re-use) : ESS로 활용. 2. 재활용(re-cycle) : 희소금속 추출.
* 팩-> 모듈 - > 셀로 갈 수록 해체가 어렵고 노동집약적임. (수작업)
* 팩을 바로 재사용하는 경우는 공정이 단순하는 재활용의 폭이 좁다. ( 형태가 달라서 )
* 셀까지 해체해서 사용할 경우 제품 적용의 폭이 넓으나 해체비용이 많이 든다.
* 팩의 형태가 제품마다 다르고 다양해서 자동화하기는 쉽지가 않다.
4. 폐배터리 처리방법 ( 2. 재활용 )
* 재활용 전처리 - 폭발위험 제거 및 파쇄작업. 후처리- 화학용액(황산) 이용해 금속 추출.
* 습식 처리 vs 건습식 처리
- 건습식처리는 글로벌1위 유미코어가 하고 있는 방식임.
- 건습식처리는 전처리가 필요없고 대용량처리가 가능하나 설비비가 많이 들어서 작은 규모의 회사가 선택하기는 어려운 방법.
5. 주요기업
* 거린메이, 닝보브룬프(tsmc 자회사와 합작사), 유미코어, 성일하이텍(비상장) , 고려아연
6. 폐배터리 종목 선정시 고려할 점
* 제련소 비지니스와 기술적으로 유사함.
* 대용량 처리 설비를 갖추려면 설비비가 많이 들어 자본력도 뒷받침되야함.
* 자동차, 배터리사와 제휴가 중요. ( 원재료 확보 )
* 재활용 과정에서 환경오염 가능성이 있어 친환경 기업일 필요가 있음.
참고: 케이프증권, 전기차 폐배터리 끝장내기 (김미송, 김충현 저)
'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감속기관련 공부한 내용 (0) | 2022.06.07 |
---|---|
게임사 수익구조 (0) | 2022.05.21 |
열병합발전소 의미와 장단점 (0) | 2021.08.22 |
삼성SDI, LG화학, SK이노(배터리업체)는 그린에너지다 (0) | 2021.08.06 |
LFP는 뭐고? NCM은 뭔데? (2차전지 10초면 이해) (0) | 2021.03.19 |
4680배터리의 의미 (카나코드 Jonathan 인터뷰)
4680배터리의 의미 (카나코드 Jonathan 인터뷰에서)
2170배터리에서 4680 배터리로의 변화는
테슬라가 '자동차 회사'에서 '에너지 회사'가 되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주가에 포함되지 않았다.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버트럭 연기루머로 인한 하락에 대해서 (0) | 2022.01.14 |
---|---|
Tiger차이나항셍테크 구성종목 소개 (0) | 2021.12.27 |
SGC에너지 주요사업 (0) | 2021.12.21 |
우리넷 기록용1 (0) | 2021.12.13 |
테슬라 주가하락 7% 팔 때인가? (0) | 2021.12.04 |
SGC에너지 주요사업
1. 대표이사
이복영, 박준영, 안찬규
2. 최대주주
이복영 -> 이우성 19% (이복영 회장 장남)
승계 문제는 해결된 것 처럼 보인다. 참고로 이우성 부사장의 부인분은 구은아씨로, LS그룹회장 구자열씨의 따님이다.
한국에서 도덕적이고 깨끗한 승계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아닌 곳 찾기가 더 힘들어 보인다.
지주체계 설립 과정에서 기존 주주들의 반발이 있어 보인다. SGC에너지는 OCI계열이다.
3. 주요사업
[발전/에너지 부문]
당사는 2005년 4월 산업통상자원부(구,산업자원부)로부터 집단에너지사업 허가를 득하고 전라북도 군산시에 열병합발전소를 건설하여 2008년 4월부터 상업 생산을 시작하였습니다.
열병합발전을 통해 증기와 전기를 동시에 생산하며 증기는 현재 20개의 증기 수요처에 공정용 증기를 공급하고 있으며, 전기는 자체 사용 후 모두 전력거래소에 역송하여 계통한계가격(SMP)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안정적인 증기 매출처 확보와 전기 전량(사용분 제외) 판매로 기매출 구성에 안정적인 수익원으로 견고히 자리 하고 있습니다.
-> 계통한계가격(SMP) : 수요, 공급에 의해 SGC에너지가 한전에 전기를 파는 가격이라고 생각하면 편함. 단위는 원/kWh
-> 계통한계가격 조회하는 곳: https://www.kpx.or.kr/www/contents.do?key=225
또한, 최근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필요성과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부합하고 회사의 재무적 환경을 개선하고자 지난 2016년 10월부터 250MW 용량의 열병합발전소는 신재생연료인 목재펠릿(바이오매스)을 혼소 운영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100% 바이오매스 발전소로 전환을 계획하고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s) 판매와 확보한 온실가스배출권 거래를 통해 수익성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온실가스배출 절감을 위한 노력 또한 지속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주요 비지니스 : 1. 전기판매(SMP) 2. REC 3. 탄소배출권
-> SMP와 REC, 탄소배출권 가격은 인터넷으로도 쉽게 조회할 수 있다.
-> 목재펠릿 : 목재 찌꺼기를 분쇄 후 압축한 바이오 연료. 대체로 목재펠릿은 해외로부터 수입을 해오는데 수입산에 대해서는 2025년부터는 REC가 발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업들은 수입산을 국내산으로 대체해야할 압력을 받게 된다.
-> REC(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 :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로 인해 중대형 발전사들이 신재생에너지 발전사로부터 일정 부분 구매해야하는 인증서. 기존 중대형 발전사들은 주로 화력발전이고, 발전사업이라는게 대형설비사업이라, 신재생발전으로 바로 갈 수가 없다. 그렇기에 다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로부터 REC를 구매해 의무할당량을 맞춰야 한다.
-> 혼소: 섞어서 사용하는 것. (천연가스와)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ger차이나항셍테크 구성종목 소개 (0) | 2021.12.27 |
---|---|
4680배터리의 의미 (카나코드 Jonathan 인터뷰) (0) | 2021.12.25 |
우리넷 기록용1 (0) | 2021.12.13 |
테슬라 주가하락 7% 팔 때인가? (0) | 2021.12.04 |
애플이 테슬라가 될 수 없는 이유 (0) | 2021.11.25 |
수소발전의무화제도(HPS) 투자아이디어
수소발전의무화제도(HPS)와 관련주
1. 수소발전 의무화제도란? (이하 HPS)
* 수소연료전지로 생산한 전력을 일정량 구매하도록 의무화 하는 제도이다.
* 기존 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제도(RPS)에서 수소연료전지 부분을 따로 빼 HPS를 설립했다.
즉 RPS -> RPS와 HPS로 나뉘게 된다.
이는 다른 수소연료전지가 다른 신재생에너지보다 비교열위인 상황에서 정부가 수소산업을 키워주려는 의도임을 의미한다. 기존 RPS제도내에 수소연료전지가 포함되어 있게 되면, 경쟁우위인 다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통화 의무 물량을 맞추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2. 수소연료전지가 당장 침투할 수 있는 영역은?
아직 구체적 기준과 정책은 나오지 않았으나 대형 건물에 연료전지 발전을 의무화 하면 수소연료전지 산업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는 반드시 비상발전기가 설치되어야 한다. 하지만 평상시 거의 쓸 일도 없기도 하고, 발전단가 가 가장 낮은 경유발전기가 설치되어 있다. 경유발전기는 환경오염물질이 많이 배출된다.
서울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발전기(경유발전기)의 용량은 6.4GW용량이다.
2020년 연료전지 시장은 148MW라고 한다. 6.4GW는 6400MW이다. 즉 서울에 있는 비상발전기만해도 2020년 연료전지 시장규모의 43배에 달한다.
3. 수소연료전지 관련회사
세계 연료전지 시장은 발전용은 1. 블룸에너지(50%) 2. 듀산퓨얼셀(33%) 3. 퓨얼셀에너지(14%) 가 차지하고 있다.
세계 가정건물용(소형) 연료전지 시장은 1. 파나소닉(45%) 2. 아이신세이키(44%)의 일본기업이 시장을 독점중이다.
국내는 SK에코플랜트(구SK건설)과 미국 블룸에너지가 SOFC 사업을 영위중이다. (SOFC는 연료전지의 종류 중 하나)
국내 공급은 SK와 블룸에너지의 합작사인 SK블룸에너지가 가장 큰 사업자 중 하나이다.
국내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회사이지만 미코의 자회사중 하나인 미코파워가 SOFC 사업을 하고 있다.
'투자 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롯데웰푸드 (0) | 2023.05.27 |
---|---|
20220506 수소법개정안 속도전이 중요한 이유 (SK증권, 나승두) (0) | 2022.05.07 |
우크라이나 침공하면 주가가 폭락할까? (0) | 2021.12.15 |
중대재해처벌법을 넣으니 GS건설의 로봇 '스팟' 이 나오네 (0) | 2021.12.05 |
쉐프가 없는 식당 - 요식업계가 변하고 있다 (0) | 2021.11.26 |